티스토리 뷰
Ruby on Rails는 대부분 Ubuntu같은 Linux나, Mac에서 구동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Windows에서 Ruby on Rails를 구동하는 것은 조금 까다롭습니다.
가상머신을 이용하거나 putty를 이용해서 rails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가상 머신을 이용할 경우 저사양 컴퓨터에서 작업하시는 분들은 거의 개발이 힘들 정도로 느립니다.
putty로 하는 것이 깔끔한 방법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근 개발 환경 설정만으로도 큰 장벽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제가 경험했던 방식을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Railsinstaller 설치
(다운로드 주소 : https://s3.amazonaws.com/railsinstaller/Windows/railsinstaller-3.4.0.exe)
Railsinstaller를 추천해드리는 이유는, 이것을 설치하면
설치가 끝났으면, 한번 체크박스를 체크해서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봅시다.
일단 이걸로 Rails 설치를 끝내겠습니다.
2. IDE(통합 개발 환경) 설치
통합 개발 환경을 사용하는 이유는, 터미널하고 메모장, 파일 탐색기로 하나씩 코딩하는 건 좀 불편한 제 특성상, 코딩을 좀 더 편안하게 하기 위해 자동완성부터, 실행까지 등의 통합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Ruby on Rails를 다룰 수 있는 IDE로는 Eclipse 기반의 Aptana Studio, IntelliJ 기반의 Rubymine 등이 있습니다.
특히 IntelliJ기반의 Rubymine은 상용 프로그램이기에 더 편리한 개발 환경을 지원해주기에 개인적으로 Rubymine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Rubymine의 경우 상용 소프트웨어이므로 이번 시간에는 무료 소프트웨어인 Eclipse로 Rails를 구동하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대학생이시라면 학교 메일을 통해서 Rubymine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가능하신 분들은 Rubymine으로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1. Eclipse 설치
먼저 https://www.eclipse.org/downloads/ 로 가셔서 eclipe 실행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로드 주소 : http://ftp.yz.yamagata-u.ac.jp/pub/eclipse/oomph/epp/oxygen/R2/eclipse-inst-win64.exe)
다운로드가 끝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Eclipse IDE Javascript and Web Developers" 이걸로 설치해보기로 합시다.
Install을 누르세요.
체크박스 체크하고, Accept를 누르세요.
설치가 끝났으면 Launch를 눌러서 실행해봅시다.
실행하면, workspace(작업공간) 폴더 위치를 생성하는데, 자동으로 생성해주니까 폴더를 바꾸고 싶지 않는 한 OK누르시면 됩니다.
먼저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메뉴에서 "Help"->"Install new Software..."를 선택합니다.
이 화면이 나타나면 오른쪽의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런다음, 이름 부분에는 "Aptana Studio"(이름 자유)를 치시고,
Location 부분에는 http://download.aptana.com/studio3/plugin/install 을 입력한 다음 OK룰 누릅니다.
그러면 목록에 Aptana Studio 3가 나오는데 이 항목을 체크한 다음에 Next를 클릭합니다.
accept 체크하고, Finish를 누릅니다.
끝나면, 이클립스가 다시 재부팅을 하고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맨 오른쪽에
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누르시면 이런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두 번째 Web인 이걸 선택한 다음에 "OK"를 누릅니다.
이런 화면이 나타난 다음에, 왼쪽의 을 누른 다음에, "Rails Project"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정하신 다음 "Finish"를 클릭합니다.
만약 이 창이 뜨신다면 액세스 허용해주시길 바랍니다.
프로젝트를 완성하면 밑에서 자동으로 생성 작업을 할 것입니다.
프로젝트 작업이 끝나면, 한번 터미널에 rails s 를 입력한 다음, 아무 브라우저나 http://localhost:3000/ 를 접속합니다.
이 과정까지 하셨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실 겁니다.
이것으로 Windows로 Rails 구동이 완료되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hub
- Firebase
- rails m n 관계
- flutter
- GitHub Pages
- 딥링크
- 딥링킹
- github Actions
- 옵셔널
- Ruby on Rails
- Animation
- m n 관계
- Dynamic link
- devise
- rails
- 루비
- Railsinstaller
- Ruby
- 애니메이션
- putty
- 레일즈
- go_router
- 스위프트
- Rails 설치
- Aptana Studio
- ERB
- Windows에서 Rails 설치
- optional
- Route
- M:N관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